부산기업 위상 추락! 매출액 1000대 포함 기업 역대 최저 '하락'
부산기업 위상 추락! 매출액 1000대 포함 기업 역대 최저 '하락'
  • 양삼운 기자
  • 승인 2022.09.23 15: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해 전국 매출액 1000대 기업 중 부산기업 27곳, 2002년 조사 이후 최저치
부산상의 기업동향분석센터 "최고치 기록 2008년 55개사 대비 절반 못 미쳐"
100대 기업 내 부산기업 없어, 부산 1위 르노코리아자동차도 전국 120위 기록
1000대 기업 매출액 전년대비 평균 15.2% 성장, 반면 부산은 7.7% 증가 그쳐

부산기업의 위상 추락에 끝이 보이지 않는다. 2021년 전국의 기업들은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매출이 견조한 회복세를 보였지만, 부산의 기업들은 그렇지 못했다. 타 지역과 비교해 고부가 신산업 비중이 낮은 부산의 산업 구조적 취약성이 통계로 여과 없이 드러나 지역경제계의 시름도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23일 부산상공회의소(회장 장인화)에 따르면 ‘2021년 전국 매출액 1000대 기업 중 부산기업 현황 분석’을 통해 지역기업 경쟁력의 바로미터라 할 수 있는 전국 매출액 1000대 기업에 이름을 올린 부산기업의 수는 27개사라고 밝혔다.

지난해 매출액 기준 전국 1000대 기업 중 부산기업 추이(사진제공=부산상의)

조사결과, 이번에 기록한 27개사는 조사 개시 이후 처음으로 30개사 이하로 떨어졌던 2020년 29개사보다도 2개사가 더 감소하며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였다. 역대 최고치였던 2008년의 55개사와 비교하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치이다. 더욱이 올해 1000대 기업 명단에 포함된 부산 기업 중 일부는 타 지역 전출 움직임마저 보이고 있어, 향후 전국 1000대 기업 중 부산기업의 수는 더욱 감소할 수도 있는 상황이다.

기업별로는 부동의 지역 매출 1위 기업인 르노코리아자동차(주)가 신차출시 효과 감소 및 경쟁력 약화 등 내수판매 부진 영향으로 전국순위에서 120위로 밀려났다. 에어부산과 부산롯데호텔 등 부산을 상징하는 대표 기업들도 코로나19 사태의 여파에서 벗어나지 못하며 2020년에 이어 2021년에도 전국 1000대 기업 명단에 들지 못하는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전체적으로는 2021년 5개사가 1000대 기업에서 탈락했고, 3개사가 새로 진입했다. (주)동원개발, 두동도시개발(주), (주)동성화인텍, 협성르네상스(주), (주)파나시아 등은 분양사업 종료에 따른 매출감소와 경영환경 악화에 따른 실적 부진으로 1000대 기업에서 밀려났다. 반면 시설 확대에 나선 (주)동성모터스와 수익 다변화 전략으로 매출이 증가한 (주)비엔케이투자증권, 물적분할로 2020년 매출이 집계되지 않았던 와이케이스틸(주)은 2021년 신규 진입했다.

부산의 1000대 기업 27개사의 전국순위 변동 현황을 보면 새로 이름을 올린 3개사를 제외하고 2020년 대비 전국순위가 상승한 기업은 (주)한국거래소(721위→574위), 에스엠상선(주)(372위→229위), 태광후지킨(주) (937위→815위), 대한제강(주)(461위→397위), 인터지스(주) (851위→→795위), 세운철강(주)(588위→535위), 비엔케이캐피탈(주)(468위→456위) 등 7개사에 불과했으며, 나머지 17개사는 모두 전국순위가 하락했다.

2021년 전국 1000대 기업에 포함된 27개 지역기업의 총 매출액은 30조 703억원으로 2020년 29개사 27조 9,280억원 대비 7.7% 증가했다. 하지만 전국 평균이 15.2%이고, 서울·경기·인천을 포함한 수도권 기업들이 16.3%, 충남·충북권이 33.2%나 증가한 것에 비하면 초라한 수준이다.

한편 전국 매출 1000대 기업의 수도권 편중현상도 여전했다. 2021년 매출 1000대 기업 중 751곳이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매출 순위 100위 내 기업으로 범위를 좁히면 수도권에 92곳이 소재하고 있으며, 이중 78곳이 서울에 있어 서울공화국이라는 오명을 씻기 어려워 보인다.

부산상공회의소 기업동향분석센터 관계자는 “추락하고 있는 부산기업의 위상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산업은행을 포함한 금융공기업 이전과 대기업 유치가 단기처방이 될 수 있다”면서, “하지만 보다 근본적으로는 지역기업들이 신성장 하이테크 산업 진출을 통해 외형을 키우고, 기존 사업의 고부가치화를 통해 기업경쟁력을 높여 나가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